투자/해외ETF

🏦 [회사채 vs 종합채권 ETF] LQD vs AGG 완벽 비교! 나에게 맞는 ETF는?

pickngo 2025. 4. 29. 21:00
반응형

LQD vs AGG

✅ LQD vs AGG 간단 요약표

항목LQDAGG
ETF명 iShares iBoxx $ Investment Grade Corporate Bond ETF iShares Core U.S. Aggregate Bond ETF
주요 자산 미국 투자등급 회사채 (BBB 이상) 미국 국채 + MBS + 회사채 등 다양한 채권
수익률 (1년, 2025.4 기준) 약 +7.1% 약 +3.8%
분배 빈도 월배당 월배당
총보수 0.14% 0.03%
변동성 중간~높음 낮음
투자성향 인컴+리스크 수용 가능 투자자 안정성 중시 투자자

📌 LQD 특징 

  • 우량 기업의 회사채(Investment Grade)로만 구성
  • 수익률이 AGG보다 상대적으로 높음
  • 경기 민감도와 금리 민감도가 큼
  • 월 배당 제공
  • 주식보다 변동성은 낮지만, AGG보다는 높은 편

LQD 투자 적합 대상

  • 일정한 이자 수익을 원하지만, 다소 높은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는 투자자
  • 기업 신용에 베팅하는 인컴 투자자
  • 경기 회복기 or 금리 하락기에 수익을 노리는 투자자

📌 AGG 특징 

  • 미국 종합 채권시장 전체에 분산 투자 (국채, MBS, 회사채 등)
  • 금리 변동에 덜 민감, 상대적으로 안정적
  • 수익률은 낮지만 포트폴리오 분산에 탁월
  • 비상금이나 단기 채권 대체 투자처로 유용
  • LQD보다 보수적인 성향

AGG 투자 적합 대상

  • 변동성을 최대한 피하고 싶은 투자자
  • 채권 ETF 초보자
  • 인컴보다 자산 안정성을 우선시하는 투자자

📈 수익률 비교 (2025년 4월 기준, 1년)

ETF수익률배당수익률(연환산)
LQD 약 +7.1% 약 4.5%
AGG 약 +3.8% 약 3.2%

💡 LQD가 수익률 측면에서는 우위,
그러나 안정성과 변동성에서는 AGG가 더 보수적입니다.


💬 결론: 어떤 ETF가 나에게 맞을까?

투자성향추천 ETF
인컴 중심, 약간의 변동성 수용 가능 LQD
초보자, 안정성 최우선 AGG
포트폴리오 분산 및 중립 전략 LQD + AGG 혼합 투자도 가능

🔖 투자 팁

  • 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시기: LQD 비중 확대
  •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질 때: AGG 또는 국채 ETF 비중 확대
  • 리스크 허용 한도를 고려한 분산 투자가 핵심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