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✅ 레버리지 ETF란?
레버리지 ETF는
기초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2배 또는 3배로 추종하는 ETF입니다.
예시:
- KODEX 레버리지 (코스피200 2배)
- TIGER 미국테크TOP10레버리지
- TQQQ (나스닥100 3배)
📌 상승장이 뚜렷한 시기에는 단기간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,
하락장에서는 손실도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수 있는 양날의 검입니다.
⚠️ 레버리지 ETF 거래 시 주의사항 5가지
1. 📆 장기투자 금지!
레버리지 ETF는 하루 단위의 수익률만을 추종합니다.
즉, 누적 수익률은 시장과 다르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.
예:
- 어떤 지수가 한 달간 +0% (횡보)라고 해도
- 레버리지 ETF는 손실이 날 수 있습니다.
이유는 '복리효과(Compounding effect)'와 '변동성 드래그(Volatility drag)' 때문입니다.
👉 결과적으로 장기간 보유하면 수익률이 왜곡되어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.
2. 📉 시장 방향성 확신 없으면 투자 금지
레버리지 ETF는 단기 시장 방향성이 뚜렷할 때만 유효합니다.
- 횡보장이나 급등락장에서는 괴리율과 복리효과로 수익률 왜곡
- 일정 기간의 수익률이 오히려 손실로 전환
👉 레버리지 ETF는 트레이딩 도구로 사용해야 하며, 투자의 수단이 아닙니다.
3. 💸 괴리율 주의
ETF 가격과 기초자산 순자산가치(NAV) 간의 괴리가 클 경우
실제 지수 대비 과하게 비싸거나 싸게 거래될 수 있습니다.
- 특히 해외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ETF는
시장 개장 시간 차이로 인해 괴리율이 +/- 1% 이상 벌어질 수 있습니다.
✅ 매수 전에는 반드시 괴리율 확인!
4. ⚠️ 변동성 클수록 손실 위험 증가
레버리지 ETF는 기초지수의 변동성이 클수록 복리효과가 왜곡됩니다.
-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는 시장에서
레버리지 ETF는 지수 대비 더 빠르게 가치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.
📌 예:
지수가 -10%, +10%, -10% 반복하면 지수는 원위치지만
레버리지 ETF는 복구하지 못하고 손실 누적
5. 🧠 손절/익절 기준 설정 필수
레버리지 ETF는 강력한 리스크 관리가 생명입니다.
- 손절 기준: -5% 또는 -10%
- 익절 기준: +5~10% 수익 실현
- 비중 제한: 전체 포트폴리오의 10~20% 이내 운용 권장
🧮 실제 예시로 보는 ‘장기보유의 함정’
구간나스닥100 지수 수익률TQQQ 수익률
2022.01~2023.01 | -33% | -75% 이상 |
2023.01~2024.01 | +50% | +150% 이상 |
하지만 2년 누적 수익률 | -2% | -30% 이상 |
🧠 레버리지 ETF는 상승장에서 강하지만, 하락장에서 복구가 매우 힘든 구조입니다.
💬 Pick & Go의 한 줄 요약
레버리지 ETF는 단기 트레이딩에 적합한 도구입니다.
장기 투자로 착각하면, 시장을 맞췄는데도 손해를 볼 수 있어요!
반응형
'투자 > 투자에 도움될만한 이것저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🇧🇷 브라질과 한국의 조세협약으로 브라질 채권 이자소득 과세는 어떻게 될까? (1) | 2025.04.28 |
---|---|
브라질 채권 투자, 지금 해도 될까? 🇧🇷 고금리 vs 환율 리스크 총정리! (1) | 2025.04.28 |
2025년 하반기, 다시 엔고시대? (2) | 2025.04.24 |
2025년, 엔저는 끝났다? 엔화강세에 투자하는 3가지 방법 (10) | 2025.04.23 |
달러($$)강세에 투자하는 3가지 방법(세금은 얼마일까?) (4) | 2025.04.23 |